[자동차 세금 관련 정보]
- 자동차세 납부기간이 지났다면? – 연체액 계산기
- 2025년 자동차 세금 연납 할인 작년과 동일하게 유지!
- 자동차 취득세 다자녀 감면 2025년은 2명부터 혜택 적용
- 2025 자동차세 납부기간 / 연납 계산
- 자동차 취득세 계산 방법 [1분 정리]
공채 매입 면제 대상 및 조건
- 참고 자료: 한국납세자연맹
면제 대상 | 세부 조건 |
---|---|
경차(경형자동차) * 1600cc 미만의 차량은 대부분 면제이지만, 각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추가 확인 필요. | ① 비사업용 승용자동차 (승차정원이 7명 이상인 자동차는 제외) ② 승차정원이 7명 이상인 승용자동차 및 승합자동차 (11인승 이상 15인승 이하, 길이 4.7m, 너비 1.7m, 높이 2.0m 이하) ③ 소형화물자동차 (최대 적재량 1톤 이하, 총중량 3.5톤 이하) ④ 소형특수자동차 (총중량 3.5톤 이하) (③/④ – 본인 명의 또는 주민등록상 같은 보호자와 공동명의로 구입한 보철용 차량 1대에 한정) * 보철용 차량: 국가유공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차량으로, 차량을 보훈관서에 등록하면 공영주차장 주차요금이나 통행료 감면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국가유공자 및 지원 대상자 | ① 상이등급 1급부터 7급까지 판정을 받은 사람 ② 독립유공자로 등록된 사람 ③ 5·18 민주화운동 부상자 ④ 고엽제후유의증 환자 중 장애 정도 판정을 받은 사람 ⑤ 장애인으로 등록된 사람 |
하이브리드자동차 * 각 지역 별 추가 확인 필요. | ① 도시철도채권 매입 의무가 있을 경우, 2024년 12월 31일까지 등록하면 최대 200만 원까지 면제 |
전기자동차 및 수소전기자동차 * 각 지역 별 추가 확인 필요. | ① 도시철도채권 매입 의무가 있을 경우, 2024년 12월 31일까지 등록하면 최대 250만 원까지 면제 |
요약
- 공채 매입은 자동차 등록 시 의무적으로 채권을 구매하는 과정으로, 도시철도 건설이나 지역개발에 사용됩니다.
- 면제 대상은 장애인, 국가유공자, 친환경 차량 등이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특정 조건에 따라 채권 매입액이 크게 줄거나 면제됩니다.
- 지역별 차이로 인해 같은 차량이라도 등록 지역에 따라 매입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공채 할인을 통해 채권을 바로 매도하여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은행 출장소에서 진행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