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중개수수료
먼저 중개수수료는 공인중개사가 임대인의 부동산과 임차인이 원하는 조건의 부동산을 매칭해주는 서비스 비용으로, 부동산마다 수수료를 다르게 받습니다. 비싼 집일 수록 더 많은 값이 나올 수 밖에 없죠. 배보다 배꼽이 클 수는 없으니 나라에서는 상한요율, 상한액을 정해 일정 금액 이상을 받을 수 없게 하였습니다.
중개수수료 = 거래금액(or 보증금) × 상한요율로 정하는데, 매매인지 월세인지 또는 주택인지 오피스텔인지 등 여러 조건에 따란 상한 요율이 정해집니다.
만약 상한 요율이 0.9%라고 모두 0.9%를 적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상한선 내에서는 공인중개사와 얼마든지 협의 하여 조율이 가능합니다.
중개수수료 요율표를 확인하여 내가 내야 할 금액보다 더 요구하는 것은 아닌지 미리 계산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중개수수료 계산기를 활용하시면 쉽게 금액을 산정하실 수 있습니다.
부동산 부가세
모든 물건 및 서비스에 붙는 부가가치세(VAT)는 부동산 거래에도 포함됩니다. 보통 10%가 대부분이지만, 4%만 붙는 곳도 있습니다. 그 차이는 일반 과세자와 간이 과세자로 나뉘는 데 연간 매출액으로 정해집니다. 일정 매출에 도달하지 못한 사업자는 간이과세자로 분류되어 4%의 부가세 또는 면제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간이과세자 부동산은 소비자에게 10%가 아닌 4%를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2025 중개수수료 요율표
- 아래 표는 주택(아파트, 빌라 등)에 해당하는 부동산 중개수수료 요율입니다. 거래금액에 해당하는 상한 요율을 곱하면 부동산에서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이 됩니다. 오피스텔, 토지나 상가 등은 <여기서> 확인 바랍니다.
거래 내용 | 거래금액 | 상한요율 (상한액) |
---|---|---|
매매 · 교환 | 5천만 원 미만 | 0.6% (25만 원) |
5천만 원 이상 ~ 2억 원 미만 | 0.5% (80만 원) | |
2억 원 이상 ~ 9억 원 미만 | 0.4% | |
9억 원 이상 ~ 12억 원 미만 | 0.5% | |
12억 원 이상 ~ 15억 원 미만 | 0.6% | |
15억 원 이상 | 0.7% | |
매매·교환 이외 (월세, 전세 등) | 5천만 원 미만 | 0.5% (20만 원) |
5천만 원 이상 ~ 1억 원 미만 | 0.4% (30만 원) | |
1억 원 이상 ~ 6억 원 미만 | 0.3% | |
6억 원 이상 ~ 12억 원 미만 | 0.4% | |
12억 원 이상 ~ 15억 원 미만 | 0.5% | |
15억 원 이상 | 0.6% |
▶ 조기 폐차 지원금 2025 “신청 방법 자세히 보기”
▶ 자동차 공회전 금지 지역 및 구역 알아보기 “전기차도 안되나?”
▶ 이미지 화질 높이는 무료 사이트 3가지 비교 (iLoveIMG, waifu2x, Img.Upsca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