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바이 번호판 헷갈릴 때 조회하는 법

평소 자동차를 운행하거나 도보로 이동 중 오토바이가 신호 위반, 인도 위 주행 등 운전을 욕 나오게 하는 사람들을 많이 생겨 신고하시는 분들도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번호판을 다 못 보거나 1~2 글자가 헷갈릴 경우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단, 해당 오토바이가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그 유무 정도밖에 알 수 없으니 신고까지는 본인의 판단대로 하시길 바랍니다. (신고해도 해당 이륜차 번호가 맞지 않으면 처벌이 되지 않습니다.)

오토바이 번호판 조회 하는 법은?

신고할 또는 개인적으로 찾고 있는 오토바이의 번호를 알고 싶다면 ‘KB다이렉트 이륜차보험’ 페이지에 접속하셔야 됩니다. 그리고 간단한 인증을 마친 후 추측되는 번호를 여러 번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오토바이 번호판 조회 사이트
오토바이 번호판 조회 사이트

[KB손해보험다이렉트 홈페이지] 바로가기

  1. 이륜차 소유(예정)자 정보에 본인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입력
  2. 본인인증: 간단하게 휴대폰 번호 입력 시 인증 가능. (이외에도 카카오, 토스, pass 인증 가능.)
  3. ‘보험료 갱신/가입’ 버튼 클릭
  4. ‘이륜차번호’ 선택 후 조회 가능

이륜차 번호판 구성

오토바이의 번호판은 지역, 사는 동네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비슷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지역: 서울, 부산, 광주, 울산 등, 주로 자신의 주거 지역으로 적혀있지만 가끔 다른 지역에서 받아오는 경우가 있어 서울에도 부산 번호판을 달고 다니기도 합니다.
  2. 구: 영등포(구), 강남(구), 해운대(구) 또는 동(구), 북(구) 등
  3. 한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보통 이 중 하나가 구와 번호 사이에 자리를 차지합니다
  4. 번호: 4589, 7996, 4775 등의 숫자 4 자리

※ 주로 한글 또는 번호가 잘 보이지 않거나 헷갈리는데 최대한 비슷한 글자로 계속 대입해 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번호 유무 확인

번호가 틀렸을 경우, 아래와 같은 문구가 뜹니다.

“지역 별 코드가 정확하지 않습니다.”

“차량 번호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번호가 맞았을 경우, ‘다음’ 버튼이 노란색으로 활성화되며 이 경우 번호가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오토바이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