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세금 : 취득세 계산기

[자동차 취득세 계산기]


 
* 경차의 경우, 75만 원 감면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내 차 취득세]

다음으로 취득세와 함께 납부하여야 하는 자동차 세금 국공채 매입 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고차 취득세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

국공채 매입비/자동차 채권

  • 공채 매입이란 자동차를 등록할 때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채권을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제도.

여기에서 2가지 방법이 있는데, 공채 매입 비용 그대로 납부 or 공채 매입을 할인 받아서 납부하는 법입니다. 매입 면제 조건에 해당하신다면 아래 내용은 읽어보지 않으셔도 됩니다.

  1. 공채 매입 비용 산정 방법: 과세표준액(차량 가격 – 부가세) × 매입률(%) = 공채(채권) 매입 비용
    • 매입률(%)은 각 지역마다 다릅니다.
    • 또한 채권은 일정 기간(5년 / 7년) 뒤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2. 공채 할인 방법: 공채 매입 후 즉시 매도하여 할인된 금액을 지불하는 방법으로 초기에 납부해야 할 비용이 대폭 감소되어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 공채 할인액 계산 방법: 공채 매입 비용 × 할인율(%)

취득세 계산 방법

  • 취득세(등록세 포함)는 차량 가격과 차량 종류, 용도에 따라 정해집니다.

만일 2500만 원의 승용차량(1000cc 이상)을 구매하였다면?

  • 2500만 원에 포함된 ‘공장 출고 가격’ + ‘개별 소비세’ + ‘교육세’ + ‘부가가치세’ 중 부가가치세(10%)를 제외한 가격에서 승용차의 표준 세율을 적용하여 취득세를 계산합니다.
    • {2,500만 원 – 227.273만 원(부가세 10%)} × 7%(세율) = 1,590,909 원

차량 별 표준 세율

취득세 세율 표

약 160만 원이 취득세이며, 이때 국공채 매입 면제가 아니라면 비용(도시철도채권 또는 지역개발채권)을 함께 계산하여 납부합니다.

중고차의 경우

  • 중고차는 신차와 다르게 정해진 판매 가격이 없기 때문에 시가표준액 × 세율(%)로 취득세를 결정합니다.

시가표준액 = 기준 금액 × 경과 연수별 진가율

기준가격

  • 차량의 출고 당시 책정된 기준 가격으로, 차량의 모델, 트림, 사양 등을 바탕으로 산출
  • 매년 행정안전부에서 차량별 기준가격표를 고시하며, 이 기준가격은 해당 차량의 새로운 상태에서의 가치를 반영
  • 예: 2020년형 현대 아반떼 기본 모델의 기준가격이 2,000만 원이라면, 2020년에 출고된 이 차량은 처음에는 기준가격을 그대로 적용

경과 연수별 잔가율

  • 차량의 사용 연수에 따라 남아 있는 가치를 백분율로 표시한 값
  • 잔가율은 차량의 사용 기간이 늘어날수록 점차 감소하며, 이는 차량의 감가상각 정도를 나타냅니다.
  • 잔가율 표는 보통 국산차와 수입차로 나뉘며, 경과 연수별로 고정된 값이 있습니다.

시가 표준액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며, 실제 거래 가격과 비교하여 더 높은 금액을 적용하여 취득세를 계산합니다.

[자동차 세금 관련]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