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0 (수), 제 22대 국회의원 선거 날이다. 2020년도에 21대 선거가 있었으며 국회의원의 임기인 4년 만에, 국민들에게 다시 투표권이 주어졌다.
이 날을 위해서 국회의원들은 여러 공약들을 내걸며 선거 전 날까지 유세를 하고 다니기 바쁘다.
투표권은 민주주의라는 나라만의 상징이며, 국민인 우리들에게 아주 중요한 권리이자 의무이다. 본인의 손으로 본인들의 시/도/구, 더 넒게는 대한민국의 미래, 환경, 복지 등을 변화 시킬 인물, 국회의원(지역구 254명, 비례대표 46명) 300명(석)을 뽑는 것이다.
그래서 2030세대가 투표를 해야 하는 이유는?


위 연령 별 투표율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20대~30대의 투표율이 조금씩 오르고는 있지만, 아직 가장 낮다고 보면 된다. 그 낮은 이유에는 당장 정치에 효능감을 느끼지 못함과 2~30대를 위한 정책이 적기 때문에 투표의 필요성까지 느끼지 못 하고 있다.
“2030 나이 대를 위한 국회 의원들이 많이 없다”는 생각보다 우선, 그들은 투표를 많이 받아야 당선이 되기 때문에 투표율이 높은 중·장년층(40대, 50대 이상)을 공략하며, 그들을 위한 공약들이 많다고 보면 된다.
이처럼 우리가 투표를 해야 하는 이유는 20 · 30대들의 투표률이 높아질 수록 그들은 젊은 세대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서라도 여러 정책들이 나오기 시작할 것이다.
2030 정책이 적은 이유

앞에서 말했듯 2~30대의 투표율이 낮은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그것이 현재 20~30대 만의 탓이나 문제가 아니라 이전, 현재 3040, 5060 세대 또한 같은 상황이었으며, 지방 선거, 대통령 선거 때도 20대, 30대의 투표율은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지금이라도 쉬는 날이라 생각하기 보단 어떤 선거든 참여해 투표권을 행사하길 바란다. 선거권은 18세 이상의 국민이면 선거권이 주어진다.(2006년 4월 11 일생까지)
지지 정당이 없는데 누굴 지지해야..
이 부분은 정치에 큰 관심이 없거나, 차라리 안보는게 낫다는 분들이 대부분이라 생각한다.
제일 현명한 방법은 인터넷에서 찾아보거나 각 집마다 받게 되는 투표 안내문·선거공보를 보며, 어느 정당에서 어떤 후보가, 무슨 공약을 내걸며 나오는지 읽어보며, 지지할 정당·후보를 추리는 것이다.
하지만, 공약이든 뭐든 바로 믿음이 가는 정당이 있기에는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어떤 이들은 무효 표라도 행사하여 2030 투표율이라도 올리는 것이 낫지 않겠냐는 의견도 있다.